2026년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습니다.
내년부터는 시간당 10,320원으로, 올해 10,030원보다 290원(2.9%) 인상됩니다.
많은 분들이 체감하는 부분은 ‘월급이 실제로 얼마나 오르는가’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최저임금 인상 소식과 월급 환산액을 중심으로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내년도 최저임금, 구체적인 수치는?
- 2025년 최저임금: 시간당 10,030원
- 2026년 최저임금: 시간당 10,320원
즉, 290원이 오른 것입니다. 숫자만 보면 작은 차이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달 기준으로 따져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https://www.minimumwage.go.kr/main.do
main | 최저임금위원회
노사가 Win-Win 할 수 있는 적정한 최저임금 수준과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근로자에게 희망을, 사업주에게 보람을, 국민에게 신뢰받는 위원회가 되겠습니다.
www.minimumwage.go.kr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나 오를까?
최저임금은 보통 시급으로 발표되지만, 근로자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것은 ‘월급으로 얼마나 받게 되는가’일 것입니다.
- 계산 기준: 주 40시간 근무, 월 209시간 적용
- 2026년 최저임금 월 환산액: 2,156,880원
- 2025년 월 환산액: 2,096,270원
- 차이: 월 약 60,610원 인상
즉, 내년부터는 최저임금 기준 근로자라면 한 달에 약 6만 원가량 더 받게 됩니다. 연봉으로 계산하면 약 72만 원 증가하는 셈이죠.
최근 최저임금 인상률 흐름
최근 몇 년간 최저임금 인상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0년: 2.9%
- 2021년: 1.5%
- 2022년: 5.05%
- 2023년: 5.0%
- 2024년: 2.5%
- 2025년: 1.7%
- 2026년: 2.9%
작년(2025년) 인상률이 1.7%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상대적으로 큰 폭의 인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5% 안팎으로 오르기도 했는데, 이번 인상은 그보다는 낮지만 최근 2년보다는 확실히 체감되는 수준입니다.
최저임금 인상, 실제 생활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가장 직접적인 변화는 월급이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편의점이나 음식점 아르바이트, 배달 보조, 학원 아르바이트 등 최저임금 수준으로 일하는 근로자라면
내년부터는 시간당 290원, 하루 8시간 기준 2,320원을 더 받게 됩니다.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약 6만 원, 연간 약 72만 원이 더해지기 때문에 생활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최저임금 인상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6년 1월 1일부터 전면 적용됩니다. 내년 첫 급여부터 새로운 기준이 반영됩니다.
Q2. 주휴수당도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오르나요?
네, 주휴수당은 최저임금과 연동됩니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주휴수당까지 포함해 받는 금액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Q3. 아르바이트생도 최저임금이 적용되나요?
물론입니다.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단기 근로자 모두 최저임금법의 보호 대상입니다.
Q4.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으면 불법인가요?
그렇습니다. 주 40시간 기준으로 월급이 2,156,880원 미만이라면 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단, 상여금이나 식대 등 일부 수당은 최저임금 산정에서 제외될 수 있으니 세부 사항은 확인이 필요합니다.
최저임금 인상, 근로자에게는 든든한 소식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의 기본 생활 보장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이 큰 요즘, 매달 6만 원이 더해지는 것은 작지 않은 변화입니다.
특히 생계비 비중이 높은 저임금 근로자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또한 최저임금은 단순히 ‘시급’의 문제가 아니라, 연봉 협상, 각종 수당, 고용보험 지급 기준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근로자 입장에서는 전반적인 급여 체계가 조금씩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2026년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 월급으로 환산하면 2,156,880원입니다.
올해보다 약 60,610원이 늘어나며, 연간으로는 72만 원가량 더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에게는 생활 안정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변화입니다.
내년부터는 조금 더 두터운 급여를 기대할 수 있으니,
아르바이트생이든 정규직 근로자든 모두 해당 내용을 꼭 확인해두시면 좋겠습니다.